✏️ 2022-10-31 Today I Learn

@mitoconcrete · October 31, 2022 · 4 min read

1. [git] git 구조의 이해

git 구조는 디렉토리 + 스테이징 + 저장소의 3가지로 구성되어 버전을 관리한다.

  1. 디렉토리

    버전을 관리할 코드가 위치한 경로. 즉, .git파일이 위치하는 파일 자체를 의미한다.

  2. 스테이징

    디렉토리에서 감지된 변화가 저장되는 임시 저장소. (git add 커멘드를 이용하여 디렉토리 -> 스테이징으로 변화를 저장한다.)

  3. 저장소

    스테이징에서 commit한 변화를 하나로 묶어 버전으로 저장소에 저장한다. 저장소에 저장된 코드는 github과 같은 코드저장소에 push 하여 사용한다.

2. [git] git pull VS git fetch

git fetch와 pull은 원격저장소의 코드의 변화를 감지하는 기능이 있다는데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차이점은, fetch는 원격저장소의 변화가 있어도 로컬의 코드에 덮어쓰지 않고, pull은 원격저장소의 변화를 코드에 덮어씌운다.

3. [회고] 221031 회고 : 이기적 개발

오늘 처음 내일배움캠프를 참여하여, 팀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미니프로젝트의 주제는 사전캠프를 통해 배운 것들을 이용해, 팀 소개 페이지를 만드는 것이었다.
팀 협업을 너무 오랜만에 해서 좋았지만 두려움도 있었다.
그래서 그런지, 과거의 좋지않은 습관이 나왔다. 주변을 돌아보지 않고 나도모르게 API 문서를 와다다다 작성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초기 API는 5개가 나왔다. 이후에 매니저님께 문서 피드백 받았는데, 기한을 맞출 수 있는지 우려하셨고 모두의 속도에 맞출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주셨다. 매니저님의 피드백을 듣고, 팀원들의 얼굴을 보았다. 지쳐보이는 기색이 역력했다.
죄송하다고 말씀드리고, API를 기초적인 기능만 빼고 모두 수정하여, 2개만 남겼다. 과연, 나는 오늘 팀원들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는 동료였는가? 라고 평가를 해보았을 때, 전혀 아니라고 생각했다.

4. [회고] 내일 다짐

과거의 쓸데없는 경험은 버리자. 겸손하자.
나는 팀 협업경험이 부족했다.
그렇기에 팀과 함께 소통하는 개발자로 성장하고 싶었고, 따라서, PBL(Project Based Learn)방식으로 교육을 진행하는 내일배움캠프에 합류했다.
팀원들의 속도에 맞출 수 있는 개발자로 성장하자.
'제가 예전에 해봤어요.' 라는 설득력없는 근거(라고 쓰고 고집이라고 읽는다)보다,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근거로 모두를 설득할 수 있는 개발자가 되자. 남을 기분좋게 만드는 사람이 되자.

@mitoconcrete
어제보다 조금 더 성장하기 위해 기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