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 230106 : 프로젝트 회고
이번 프로젝트는 개인적인 일정으로 인해 100% 참석이 불가한 프로젝트였다. 팀원들도 그렇고, 관리해주시는 분들도 나를 프로젝트 가용인원에서 제외시켰다. 그 결과, 프로젝트 직전 2개의 조가 합쳐졌고, 팀원 9명이 다함께 프로젝트를 끌어가야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어떤 어려움을 겪었고, 그것을 어떻게 해결했는지 나열해보면서 간단히 회고해보려고 한다.
-
모두의 자존감이 너무 떨어져 있었다.
- 문제원인 : 그동안 휘몰아친 많은 강의들을 못따라가시는 분들이 늘어났고, 그에따라 많은 피해자들이 발생했는데, 이번 프로젝트 조에서는 유독 그런 분들이 많았다. 추측컨데, 진도를 못따라가는 것에 대한 답답함, 문제를 계속 해결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무력감등에서 오는 자존감 하락이 많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 해결 : 기존 프로젝트의 목표를 성취하는 것 보다도, 개개인이 무언가를 만들 수 있는 자신감을 올려주는 것이 우선이라고 판단했다. 따라서, 이해도 및 진행도에 따라 세그룹으로 나누어, 성취목표를 다르게 선정하고, 업무를 잘게 쪼갬으로서, 작은 것을 해결했을때 하나의 무언가를 만들 수 있도록 유도했다.
- 결과 : 비록 목표는 이루지 못하였지만, 팀원들 개개인이 느끼는 만족도가 올라가서 리텐션을 유지할 수 있었다. 분위기가 좋아진 것이 느껴졌고, 팀의 커뮤니케이션이나 프로젝트 참여도 등이 이에 영향을 많이 주어, 좋은 분위기에서 프로젝트를 마무리 할 수 있었다.
- 느낀점 : 속도도 중요하지만, 팀의 분위기를 좋게 유지하는 것이 팀단위 프로젝트에서는 더 중요하다고 느꼈다.
-
소통 소통 소통
- 문제원인 : 조원 중 유독 소통이 안되는 팀원들이 있었다. 초반에 이 분위기는 단 한명에서 시작되었으나, 뒤로가면 갈수록 번졌다.
- 해결 : 해결하지 못했다. 소통이 안되는 팀원들은 끝까지 소통이 되지 않았다. 다만, 해당팀원들에게 내가 필요한 상황을 만드니 소통을 조금이라도 하려는 시도들이 보였고, 대화의 시작과 끝에 대한 주도권을 내가 가져갈 수 있었다.
- 결과 : 좋을 수 있었던 팀 분위기가 소통이 없는 몇몇 분들로 인해 다운되면서 희안한 밸런스가 유지되었다.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상황이 지속되었다.
- 느낀점 : 부정적인 기운은 빠르게 퍼진다. 이것을 뒤늦게 잡는 것은 어렵기에, 초반에 잡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소통의 중요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내가 구태여 이해하지 않기로했다. 이 시장에서 알아서 배척된다.
-
코드 자체를 작성하지 못하는 팀원이 있었다.
- 문제원인 : 어떤 것 부터 손을 대야하는지 모르겠다고 말씀주셨다. 어떤게 중요한지 우선순위가 판단이 되질 않아보이셨다.
- 해결 : 각각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면서 코칭했다. 또한, 한번에 하나의 테스크를 주며, 왜 이것을 사용하는지 고민해보고 이것에 대해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 결과 : 이분은 소통이 잘 되지 않는 팀원 중 한 분이셨다. 하지만, 역할에 대해 하나씩 이해하고 하나의 흐름을 만들어보면서, 결과적으로 스프링의 흐름에 대해 이해할 수 있어서 좋았다고 피드백주셨다.
- 느낀점 : 어떤것을 모르는지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우선순위을 세우고, 길을 하나씩 만들어 주는 것이 도움된다고 생각했다.
체력적으로나 심리적으로나 많은 부담이 되었던 프로젝트였다. 결국 잘 마무리되긴했지만, 스스로도 고쳐야할 점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또한, 새로운 유형의 사람들을 마주하면서 그런 유형의 사람들에게 상처받지 않기위해서는 어떻게 행동해야할지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